[Linux] 11
·
Hi🖐️/Linux
- FTP 방식 2가지 Passive Mode(수동)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Command)로 접속하고 클라이언트 사용할 두번째 포트를 서버에 알려주면 서버의 20번 포트(Data)가 클라이언트가 알려준 두번째 포트에 접속한다. (서버가 클라이언트에 접속하는 방식) Active Mode(능동) :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의 21번 포트로 접속을 시도하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가 사용할 두번째 포트를 전해준다. 클라이언트의 두번째 포트에서 서버가 알려준 포트로 접속한다.(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하는 방식) - FTP를 활용하여 상용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성할 때, 어떤 분야에 어떻게 FTP를 사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것인지 p2p같은 사이트가 하는 방식처럼 자료를 개인 대 개인으로 주고받는 서..
[Linux] 9
·
Hi🖐️/Linux
- 일반 프로세스와 데몬 프로세스의 차이 일반 프로세스는 컴퓨터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커널에 의해 실행을 하면 실행이 되고, 실행이 끝나면 종료되는 프로세스이다. 데몬 프로세스는 리눅스 커널에 의해서 실행되고, 대기상태에 있다가 특정한 서비스를 요청하면 실행해주는 프로세스이다. - 프로세스의 종류와 기능 (데몬, 부모, 자식, 고아, 좀비 프로세스) - 데몬(daemon) 프로세스 리눅스 커널에 의해 실행되고, 대기 상태로 있다 서비스를 요청하면 실행해준다. - 부모(process) 프로세스 자식 프로세스를 만드는 프로세스로, 부모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자식 프로세스가 상속된다. - 자식(child) 프로세스 부모 프로세스에 의해 만들어지는 프로세스로 부모 프로세스와 계층적 구조를..
[Linux] 7
·
Hi🖐️/Linux
- 셀의 세가지 주요 기능 a) 셀은 키보드와 화면(표준 입출력)을 통해 User와 대화하는 interface 기능을 제공한다. b) 셀은 강력한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능을 지원한다. c) 셀은 각 사용자마다 작업 환경을 원하는대로 맞추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 표준 입출력 장치 표준 입력 장치는 키보드로, 셀이 작업할 때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받는 장치이다. 표준 출력 장치는 모니터로, 실행 결과를 출력해주는 장치이고, 표준 오류 장치 또한 모니터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 '>' 사용 시 기존 파일의 내용을 겹쳐 쓸 수 있다. 방지하기 위한 방법 set명령어를 사용해 noclobber에 option을 - 해준다. -noclobber는 -C와 같다. ex) set -o nocl..
[Linux] 6
·
Hi🖐️/Linux
- X 윈도 X윈도는 유닉스계열의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윈도우로,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환경을 구현하기 위해 기본적인 프레임워크를 제공한 것이다. - 노틸러스 파일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현재 폴더에서 연습 폴더를 만든 후 vi에디터를 사용하여 test.txt 파일을 만드는 (파일 내용은 아무거나 관계없음) 과정 a) 현재활동에 파일 or nautilus를 들어가면 파일 관리자가 열린다. b) 오른쪽 마우스키를 눌러 새폴더를 누르고 새로운 폴더를 만든다. c) 터미널을 켜서 cd명령어를 통해 새폴더 위치로 들어간다. d) vi tset.txt 를 입력하고 내용을 입력한다. e) esc를 누르고 :wq를 하여 저장하고 나온다. - LibreOffice 리브레오피스도 MS-Wi..
[Linux] 5
·
Hi🖐️/Linux
- 사용자 계정과 관련된 파일중 암호를 /etc/shadow 파일에 별도로 저장하는 이유 /passwd 파일에 보관을 하게 되면 누구나 읽을 수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암호를 해독하여 사용할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보안을 위해 암호는 shadow파일에 별도로 저장하여 root사용자만 읽을 수 있게 한 것이다. - /etc/login.defs 파일의 용도 사용자의 계정과 관련된 기본 값을 정의하고 설정하는 파일이다. 암호에 대해 최대 사용일, 최소 사용일, 만료 경고일, 패스워드 최소 길이를 설정할 수 있고, 사용자와 시스템 계정의 UID와 GID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홈 디렉토리를 생성할 것인지, UMASK의 값은 뭐로 할 것인지, 사용자 계정을 삭제할 때 그룹도 삭제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
Liky
'ubuntu' 태그의 글 목록